우울증은 가장 흔한 정신질환 중 하나로, 이에 대한 적절한 조기진단과 개입이 필요하다. 하지만 우울증에 대한 지식 부족과 낙인에 대한 우려 등으로 우울증 치료는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실태이다. 또한, 전통적인 우울 진단은 주로 자기보고에 의존하는데, 이는 회고의 부정확성 문제로 제대로 된 진단 및 개입을 방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디지털 피노타이핑이란,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용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행동, 생리, 사회, 환경적 지표를 매 순간 수집하여 정량화하는 것이다(Torous et al., 2016). 이는 다차원적이고 대량의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새로운 정신건강 측정도구로 주목받고 있으며, 추후에는 RDoC의 새로운 차원적 진단체계 구축이나 환자의 개별적인 자료를 반영하여 진단 정확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정밀의학(precision medicine)의 도구로 사용될 것이 기대된다(Insel et al., 2017). 디지털 피노타이핑 기반 우울 측정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진행되었는데, 다수의 선행연구는 우울의 증상이나 수준과 같은 차원을 고려하지 않고 우울을 단일한 개념으로 측정하였다는 한계점을 지닌다. 더불어, 사용자 개별의 자료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 사용자의 개별적인 특성과 상황에 맞춤화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어렵기에, 이를 보완하여 우울 측정의 민감도와 정확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울 상태(증상X수준)별 센서데이터의 데이터세트를 구축하고 그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우울 상태를 예측하는 ‘일반화된 모델’과 사용자의 개별 자료를 반영하여 개별화된 피드백을 제공하는 ‘개인화된 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모바일 기기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지표, 휴대폰 사용 패턴 및 행동 특성 등을 자동 측정하여 우울을 조기 탐지하려는 시도가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Rohani et al., 2018). 하지만 기개발된 우울 탐지 어플리케이션은 자기보고를 포함하며 우울장애의 진단기준 중 일부만을 측정한다는 점에서 한계점을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SM-5 우울장애 진단기준에 따른 5가지 증상군(기분, 수면, 섭식, 신체활동, 사회활동)을 자동측정함으로써 그를 기반으로 우울 수준을 평가하고 수준에 따른 개입을 제공하는 통합 ICT 기반 서비스 플랫폼을 개발하고자 한다.
0 Comments
Leave a Reply. |
AuthorWrite something about yourself. No need to be fancy, just an overview. Archives
August 2023
Categori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