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적으로 생활 수준의 향상과 의학 기술 발달로 인구 고령화 현상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우리 나라 또한 2026년에 도달하면 인구의 20% 이상이 노인으로 구성되는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사회적 추세에 맞춰, 최근 고령자들을 위한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서비스가 개발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정보통신기술 서비스에 기반하여 현재 제공되는 서비스의 대표적인 예는 최근 미디어를 통해 광고되고 있는 집안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각종 개인 활동 정보를 수집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을 도와주는 스마트 홈 서비스입니다. 뿐만 아니라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를 활용하여 건강 상태 및 활동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로봇을 이용하여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고령자 대상의 정보통신기술 서비스는 현재 도입 단계로 서비스가 대부분 일부 생활 지원 영역에 편중되어 있습니다. 그러하기에 다양한 고령자의 욕구를 충족할 만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입니다. 다양한 고령자들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위한 정보통신기술 서비스가 제공되기 위해, 고령자들의 요구 사항을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고령자들을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분류가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입니다. 분류 체계가 확립되면, 고령자의 하위집단의 요구에 맞는 최적의 정보통신서비스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자들을 위한 정보통신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향과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담당자 연락처 : 민유정 [email protected]
0 Comments
Leave a Reply. |
AuthorWrite something about yourself. No need to be fancy, just an overview. Archives
August 2023
Categori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