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은 직장인들에게 흔히 발견되는 심리적 문제로, 우리나라 20-24세의 주요우울장애 유병률은 9.9%로 국민 전체 평균의 두 배 정도 높게 나타나며, 이는 점차 증가추세인 것으로 보고됨 (보건복지부, 2017). 우울은 일상 및 직업적 적응을 저하시키고 건강 문제, 높은 자살률과도 관련이 깊은 심리적 문제임.
인지행동치료는 우울 증상 완화에 효과성이 가장 강력하게 지지되는 근거 기반 치료 방법으로, 오랜 기간 수많은 연구를 통해 그 효과성이 입증되어왔음. 하지만 높은 효과성에도 불구하고 높은 비용과 사회적 낙인에 대한 우려, 긴 대기 시간 등의 이유로 인해 실제 이용률은 낮은 것으로 보고됨. 최근 기존 면대면 심리 서비스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인터넷이나 모바일 앱 등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것의 효과성 및 유용성이 주목을 받고 있음. 기존 연구들은 디지털 기술 기반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이 우울 증상을 개선하는데 전통적인 면대면 치료와 비견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줌. 하지만 기존의 디지털 기술 기반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연구들은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보여줌: 1) 인지행동치료의 프로토콜을 충실히 따르지 못하고 다른 치료적 접근 방법이 혼재된 통합적 접근을 취하는 경우가 많음, 2) 증상 완화와 관련된 효과성 검증이 주요 관측 변인인 경우가 대다수이며, 자동적 사고의 변화나 치료적 동맹 형성 등 실제 치료 효과에 영향을 주는 기저 메커니즘과 관련된 연구가 적음, 3) 치료 효과의 장기 추적 연구가 부재함, 4) 관련 국내 연구가 매우 적음. 이에, 직장인의 우울 관리에 효과적인 지속적인 프로그램 개발 연구와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 우울 증상 완화 목적의 인지행동치료 어플리케이션 ‘마인드 부스터 블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디지털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에서 이용자와의 치료적 동맹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탐색하는 것임 담당자: 김민희([email protected])
0 Comments
Leave a Reply. |
AuthorWrite something about yourself. No need to be fancy, just an overview. Archives
August 2023
Categori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