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장애인이 보이는 문제행동은 요구, 자기 자극, 불편한 신체 상태, 강박 및 통제, 회피, 관심 등의 다양한 기능에 의해 유지된다. 응용행동분석을 기반으로 문제행동에 대한 개입이 진행될 때, 첫 번째 절차가 문제행동의 기능을 파악하는 것이다. 하지만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을 유지시키는 기능에 대한 연구는 보고원에 따른 차이에 대해 혼재된 결과를 보이고 있는데, 이에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이 보이는 문제행동의 기능이 보고원에 따라 다르게 보고되는 지, 집단에 따라 어떤 기능이 높게 나타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고 있다. 연구에서 분류한 보고원 집단은 선생님, 치료사 및 기관 종사자, 부모이며, 보고원 뿐 아니라 추가적으로 문제행동의 종류도 함께 조사하여 기능 보고의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통제하였다. 현재까지 연구에 참여한 인원은 교사 264명, 치료사 및 기관 종사자 60명, 부모 89명이었으며, Functional Assessment for the Challenging/Problem Behavior (FAPB) (정경미, 김수연, 정다이, 2017) 설문지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작성하였다. 작성을 마친 뒤에는 해당 아동이 보이는 문제행동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도록 결과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변량 분산분석을 사용하여 종속변인에 문제행동의 기능, 독립변수에 집단, 공변량에 문제행동 유형을 넣고 분석한 결과, 집단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했다, Pillai의 트레이스 = .075, F = 3.18, df = 10, p = .001. 일변량 검정 결과, 집단 간 요구와 관심에서 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링크: FAPB
0 Comments
Leave a Reply. |
Archives
August 2023
Categori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