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학급 교사(이하 ‘특수교사’)들은 특수학급 학생들과 관련된 부가적인 직무 특성으로 인해 일반학급 교사들보다 과중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Derick & Raschke, 1990). 특히,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이 보이는 파괴 및 공격 행동은 특수교사의 주요 스트레스 원인으로 밝혀졌다(김영한, 2010).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교사 본인뿐만 아니라 학생과의 관계의 질을 저하시켜 학생들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연구들은 특수교사의 직업적 소진이 교사들의 정신·신체·행동에 대한 부정적 증상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직업 이탈까지 초래하기도 한다고 보고한다(강위영, 1997).
장애 학생의 문제행동과 관련되어 가장 적절한 치료방법은 응용행동을 기반으로 한 행동치료 기법이다. 하지만 연구들은 문제행동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효과적이고 전문적인 대처가 극히 제한적이라고 보고하고 있다(김영한, 2010).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2013년 국립서울병원과 본 연구실이 연구문헌에 근거하여 개발한 문제행동치료매뉴얼의 효과성 검증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추가적으로 1) 특수교사들이 문제행동에 대한 전문 지식을 함양하고 적절한 대처 방법을 학습하여, 2) 장애학생들의 문제행동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교육에 따라 특수교사들의 심리적 고통이 감소하여 직무와 관련한 심리적 문제가 감소하였는지, 그리고 장애학생들의 문제행동에 대한 대처가 간접적으로 중재 가능한지를 탐색할 것이다.
1 Comment
|
Archives
August 2023
Categori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