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얼굴 지각 연구에서 나온 여러 이론 중 다중 범주 얼굴 지각 이론(MFRM: Multi-Dimensional Face Recognition Model)을 바탕으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d disorder, 이하 ‘ASD’) 집단의 얼굴 정서 인식의 기전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 모델은 얼굴 지각이 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하고 있으며, ASD 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연구책임자는 국내 ASD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위 모델을 적용하여 얼굴 지각 기제를 연구하고 있으며, 국제 공동연구자와의 교류연구를 통해 정상발달 집단과 ASD집단과 인종 간의 상호작용이 있는지, 있다면 두 인종 집단 간 다른 반응 유형이 나타나는지 조사하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15명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청소년과 성별, 나이, 지능이 매칭된 대조군이 연구에 참가했다. 참가자들은 컴퓨터 실험과 설문지를 작성하였다.?컴퓨터 과제 실시 및 분석 결과, ASD 집단과 정상발달 집단 모두 얼굴에 대한 유의미한 잔상효과를 보고하였다. 그러나 정상발달 집단의 경우 동인종 얼굴 자극에 대한 잔상효과가 타인종 얼굴 자극일 때보다 유의미하게 더 큰 인종-수반 잔상효과와 얼굴 정체성 규준의 재형성이 보고되는 반면, ASD 집단에서는 동일한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ASD 집단 또한 얼굴 정보를 처리할 때 규준(norm)을 활용하고 있으나, 얼굴 정보 처리 경험의 부족으로 인해 동인종 얼굴에 대한 규준이 정상 발달집단에 비해 덜 정교화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대해 보다 직접적인 분석을 위해 실험 과정에서 참가자의 뇌 활동 자료를 수집,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를 위해 국외 공동연구자 측과 공동연구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추후 분석 및 결과가 실시될 예정이다.
0 Comments
본 연구에서는 순응 패러다임인 입모양 잔여효과(Mouth shape aftereffects)를 사용하여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아동이 자주 응시하는 입과 관련된 처리에서 정상발달 아동과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첫째, 국내 정상 발달 집단에서 입모양 잔여효과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 둘째, ASD 아동의 입모양 잔여효과가 정상발달 아동과 차이가 보이는지를 비교하였다. 연구 I에서는 종합대학교에서 재학 중인 대학생 51명을 무선으로 ‘음’ 또는 ‘유’ 입모양 순응 집단으로 구분한 후 입모양 순응과제를 수행하였다. 연구 Ⅱ에서는 만 6세에서 16세의 ASD로 진단받은 아동 20명과 성별, 연령 및 지능을 매칭한 정상발달 아동 18명이 모집되었으며, 참가자들은 연구 I과 동일한 컴퓨터 과제를 완료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I에서 국내 정상발달 집단에서 입모양 잔여효과가 나타났으며 ‘유’입모양에 순응한 집단의 입모양 잔여효과 크기가 더 크게 나타났다. 한편 ASD 아동과 정상 발달한 아동의 입모양 잔여효과를 비교한 연구 Ⅱ 결과, 두 집단 모두 입모양 잔여효과가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가 보고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ASD 아동이 입과 관련된 지각 처리에 있어 어려움이 없으며 정상발달 아동과 동일한 입과 관련된 규준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함의에 더불어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집단을 대상으로 평균 얼굴 순응에 따른 얼굴 변별 정확도 증진 여부를 살펴봄으로써 규준 재조정의 가능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을 받은 남자 아동?청소년(n=10)과 지능, 연령을 매칭한 정상 발달 남자 아동?청소년(n=10)을 모집하였다. 참가자들은 3개의 얼굴 자극을 학습한 뒤, 8개 수준의 얼굴 정체성 강도로 구성된 사전 식별 과제를 실시하였다. 식별 과제를 수행한 후 5분 동안 평균 얼굴 순응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동일한 자극 식별 과제를 반복하였다. 결과,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집단의 경우 순응 전 후에 따른 유의미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은 반면, 정상 발달 집단에서는 강도별 순응 전 후 정확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정상 발달 집단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집단보다 순응 전 후에 따른 정답률 증가량이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상 발달 집단의 자극 강도별 사전?사후 정답률의 차이 값을 살펴본 결과, 중간 강도의 자극에서 유의미한 상승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집단이 새로운 얼굴 자극 정보를 받아들여 규준을 재조정 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 및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강화는 지적장애인의 작업 수행 및 작업에 대한 동기를 높이고 작업을 지속하게 하는 중요한 환경적 변인이다. 강화의 효과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는 강화물의 종류, 강화 스케쥴, 강화의 즉각성 등이 있는데, 최근에는 강화 스케쥴과 강화의 즉각성을 조합한 개념인 “강화의 분배”가 새롭게 제안되었다(DeLeon, Chase, Frank-Crawford, Carreau-Webster, Triggs, Bullock, & Jennet, 2014; Frank-Crawford et al., 2018; Hoffman, 2017). 정반응을 할 때마다 즉각적으로 적은 양의 강화를 제공하는 것은 분산 강화(distributed reinforcement), 정반응이 여러 번 반복된 후 누적된 양의 강화를 제공하는 것은 누적 강화(accumulated reinforcement)로 명명되며, 두 종류의 강화는 그 효과가 개인별로 다르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강화의 즉각성의 효과는 과제의 난이도에 영향을 받음에도 불구하고(Joachim & Carroll, 2017; Kocher et al., 2015; Ward-Horner et al., 2017a) 강화의 분배와 과제의 난이도를 동시에 조작한 연구는 한 건에 불과하다(진동주, 2020). 해당 연구 결과, 어려운 과제에서 분산 강화 조건보다 누적 강화조건일 때 수행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참가자의 피로도 누적을 고려하여 강화 조건 당 시행 횟수가 제한적인 바 참가자 내 신뢰도를 평가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어려운 과제에서 강화의 분배를 조작하여 다음 두 가지 조건(1. 어려운 과제에서의 분산 강화, 2. 어려운 과제에서의 누적 강화)을 반복 시행하여 학습자의 수행과 동기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자폐증은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의 손상을 주된 증상으로 하는 신경 발달학적 장애로, 대인관계의 어려움 및 사회적 의사소통 등 전반적인 사회기술 측면에서 두드러진 결함을 보인다. 이들 중 25~30%는 정상 수준의 언어와 인지능력을 가진 고기능 자폐증으로 분류되는데, 사회성 부족과 제한된 관심과 같은 자폐증 증상으로 정상 발달 집단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은 분노와 불안을 경험한다. 정상 발달 집단의 경우, 인지행동치료(CBT)가 불안과 분노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근거 기반 치료로 알려져 있다. 고기능 자폐 집단의 경우, CBT가 고기능 자폐인의 불안 장애 치료, 정서 조절 및 분노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간헐적인 보고가 있으나 연구 수가 적고 참가자의 수가 소수로 제한되어있다. 한편, 기술기반치료는 접근성, 이동성이 높은 자조 프로그램으로, 면대면을 통해 제공되는 전통적인 인지행동치료가 가진 접근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나 고기능 자폐인의 불안과 분노 조절을 목표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기반 CBT 프로그램은 개발된 적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 청소년 및 성인의 불안 및 분노 문제 감소를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기반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각각 개발하고, 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신경발달장애는 조기 개입을 통해 유의한 기능 개선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필수적이다. 기존의 신경발달장애 평가는 장애 아동의 제한적인 언어 능력으로 인해 보호자의 자기보고나 전문가의 관찰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 방식은 보호자의 주관적 편향이 개입될 여지가 있고 전문가 인력 부족으로 충분한 자료 수집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한편, 최근 모바일 기술이 발전하면서 개인의 디지털 기기에 내장된 센서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실시간 자동 수집하는 디지털 피노타이핑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Cornet & Hold, 2018). 이에 우울, 불안, 조울증 등 다양한 성인 장애 집단을 대상으로 디지털 피노타이핑 기술을 활용한 진단 및 예측 알고리즘이 개발되고 있으나(Huckvale, Venkatesh, & Christensen, 2019), 신경발달장애 아동에 적용된 예는 극히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경발달장애 아동의 저항성을 최소화하면서도 가정 및 학교 등 생태학적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행동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디지털 피노타이핑 정밀 진단 및 예측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담장자: 정은선 ([email protected]) "혼자서도 잘해요 – 자조 행동 배우기"자조기술 습득에 대해, 치료사가 1대 1로 진행하는 행동 중재 기법의 효과성이 지지되고 있으나 1대 1 치료를 시행하기 위해 드는 시간과 인력으로 인해 해당 치료가 널리 활용되기는 어렵다. 최근에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기술기반 중재가 활용되고 그 효과성이 검증 되고있는 중이며 최근 고찰문헌에서도 자조기술 습득에 효과적으로 활용된 기법인 기술기반 중재 기법 중 비디오 모델링이 근거기반 치료법으로 새롭게 제안되었다. 하지만 실제 치료가 이루어지는 현장에서는 객관적인 평정이 되지 않은 영상을 비디오 모델링에 활용하는 경우가 많고, 영상의 구성이 자조기술 습득에 우선적인 순위대로 구성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치료 충실도나 연구 통제의 측면에서 과학적인 효과성 검증 연구는 제한된 수준이다.
이에 따라, 비디오 모델링과 사진 자극을 종합하여 자조기술 훈련에 활용하는 전자책 개발을 진행중이며, 현재까지 부모, 교사, 치료사 대상 공청회 11회 및 문헌조사를 통해 총 39개의 상황을 촬영하였다. 39개의 상황은 한국판 바인랜드 적응행동척도 제 2판 (K-Vineland-II) (황순택, 김지혜, 홍상황, 배성훈, & 조성우, 2015) 에 기반하여 4개의 영역 (개인-먹고 마시기, 개인- 용모 관리, 가정, 지역사회)로 구성되어 있고, 각 상황은 모두 15초에서 1분 사이의 영상, 사진 (일련의 순서로 3컷, 혹은 4컷, 혹은 5컷으로 구성된 사진), 각 사진에 대한 문장 (자막)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상으로 학습하고 사진 순서, 자막 순서를 퀴즈로 푸는 전자책의 형태로 구현중에 있다. 이를 통해 자조기술 학습 뿐 아니라 해당 상황에 대한 습득 정도에 대한 확인까지 가능하여, 보다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상황에 대해서는 보호자가 선택할 수도 있으나, 전자책 내에서 영역별로 구성된 순서대로 학습할 수도 있어 ASD 아동, 청소년, 및 성인의 자발적이고 독립적인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당 전자책은 10월 말에 한국어 및 영어로 개발이 완료되며, 개발이 완료된 후에는 ABA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한 후, ABA 프로그램 훈련 및 이행,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연구를 활발히 진행중인 국내 치료센터 및 해외 치료센터에서 그 효과성을 검증하여 사회적 타당도를 확인할 계획이다. 추후 연구를 통해 각 개인이 가정에서 전자책을 활용하였을 때의 자조기술 습득 효과성에 대한 검증 연구를 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보다 비용 효율적으로 ASD의 사회 적응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보건산업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지적장애를 동반한 신경발달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집행기능 향상을 위한게임 어플리케이션 “YESS(Yonsei Executive function training System for Special kids)”의 개발 및 효과성 검증을 목표로 한다.
뇌를 포함한 중추신경계의 기능 이상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장애를 신경발달장애라고 하며, 지적 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 학습 장애,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등이 이에 포함된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신경발달장애를 가진 아동, 청소년의 경우 다양한 영역 전반에서 적응 능력이 떨어지는 바, 이들의 삶의 질이 집행 기능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들이 축적되어 왔다(Happé, Booth, Charlton, & Hughes, 2006; Zimmerman, Ownsworth, O’Donovan, Roberts, & Gullo, 2018). 어린 나이에 집행기능 향상 훈련을 받을수록 경과가 좋으며(Robertson, & Murre, 1999) 아동 및 청소년의 경우 동기와 흥미를 유발하는 효과적인 보상체계가 지속적인 사용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게임화 요소를 결합한 아동, 청소년에 특화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고, 가정에서 일정 기간 훈련을 진행하여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중에 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사회적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의 어려움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입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아동들은 눈맞춤부터 얼굴 인식, 사회적 상황에 대한 이해 및 대처 등 다양한 방면에서 사회적 어려움을 보입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고기능 자폐 아동/청소년의 눈맞춤, 얼굴인식, 사회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모바일 앱 훈련 “Yface”의 효과성 연구”를 통해, 일차적으로 모바일 앱 훈련 프로그램 Yface의 사회성 향상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온라인 앱 스토어(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무료로 상용화하였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화 이후 자유롭게 다운로드하여 훈련을 진행 중인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청소년의 훈련 전후 차이를 비교하여 Yface의 사회성 향상에 대한 효과를 지속적으로 검증하고자 합니다. Early Start Denver Model (ESDM)은 자폐증 진단을 받은 영유아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근거 기반 치료법(evidence-based treatment)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특히 ESDM은 기존의 중재 방법에 비해 좀 더 일상생활과 놀이 등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접근이 가능하고, 치료사뿐만 아니라 부모도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ESDM 기반의 부모 교육의 효과성에 대해서 검증하는 것입니다. 자폐증 진단을 받은 영유아의 부모가 약 3개월간 ESDM 부모 교육을 통해 교육 전 후 아동과 부모 측면의 다양한 평가 기준의 결과 차이를 파악하고자 합니다.
발달장애인이 보이는 문제행동은 요구, 자기 자극, 불편한 신체 상태, 강박 및 통제, 회피, 관심 등의 다양한 기능에 의해 유지된다. 응용행동분석을 기반으로 문제행동에 대한 개입이 진행될 때, 첫 번째 절차가 문제행동의 기능을 파악하는 것이다. 하지만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을 유지시키는 기능에 대한 연구는 보고원에 따른 차이에 대해 혼재된 결과를 보이고 있는데, 이에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이 보이는 문제행동의 기능이 보고원에 따라 다르게 보고되는 지, 집단에 따라 어떤 기능이 높게 나타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고 있다. 연구에서 분류한 보고원 집단은 선생님, 치료사 및 기관 종사자, 부모이며, 보고원 뿐 아니라 추가적으로 문제행동의 종류도 함께 조사하여 기능 보고의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통제하였다. 현재까지 연구에 참여한 인원은 교사 264명, 치료사 및 기관 종사자 60명, 부모 89명이었으며, Functional Assessment for the Challenging/Problem Behavior (FAPB) (정경미, 김수연, 정다이, 2017) 설문지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작성하였다. 작성을 마친 뒤에는 해당 아동이 보이는 문제행동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도록 결과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변량 분산분석을 사용하여 종속변인에 문제행동의 기능, 독립변수에 집단, 공변량에 문제행동 유형을 넣고 분석한 결과, 집단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했다, Pillai의 트레이스 = .075, F = 3.18, df = 10, p = .001. 일변량 검정 결과, 집단 간 요구와 관심에서 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링크: FAPB 많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들은 공격행동, 방해, 지시 불순응 등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고, 이러한 문제행동은 치료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부모, 교사, 치료자 등에게 심한 신체적 및 정신적 부담을 주기도 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치료 세팅에서 습득한 기술을 실제 상황에서 적용하는 것을 강조하는 프로그램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동과 가장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는 부모가 실제 상황에서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처하고 문제행동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족한 실정이며, 현존하는 부모교육의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도 제한적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자폐 아동, 청소년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여 근거기반치료법을 적용한 행동주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입니다. |
Archives
August 2023
Categori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