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s: ASD)는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에 문제를 보이며 상동증적인 행동 또는 제한적인 관심이 주 증상인 장애로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4), 그 특성상 자해, 공격, 파괴 등 다양한 종류의 문제행동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제행동은 단순히 자신과 남에게 해를 입히거나 위협할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주며, 나아가 새로운 기술을 배우거나 타인과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할 기회를 박탈해 사회에 참여하여 적응할 가능성을 저해하며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Rojahn, Aman, Matson et al., 2003; Lundqvist, 2011). 다양한 연구를 통해 ASD를 가진 아동 및 청소년들의 문제행동의 발생률이 매우 높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최근 국내에서도 ASD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ASD 아동의 문제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대부분의 도구는 ASD뿐만 아니라 지적장애, 발달장애 등 여러 장애를 대상으로 표준화된 도구였으며, 이러한 도구로 ASD 아동들의 문제행동을 측정하는 것은 타당도가 떨어진다. 본 연구는 ASD 아동들의 문제행동을 측정하는 ASD-BPC (Autism Spectrum Disorder- Behavior Problem for Children; Matson, Gonzalez, & Rivet, 2008)를 한국 실정에 맞게 표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담당자 연락처: 이민주 [email protected]
1 Comment
자폐집단의 사회인지결함은 사회성의 저하를 불러오며 가정 학교 및 지역사회에 심각한 부적응을 초래한다.사회성을 증진시키려는 여러 가지 행동 기법이 적용되고 있으나,명확한 기제에 대한 정보 부족과 이에 따른 효과적인 치료방법의 부재로 자폐증의 사회적 능력개선에 대한 치료는 매우 제한된 편이다.얼굴지각은 사회 정보 처리에 가장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정상인은 매우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하게 정보 처리를 함으로써 생존뿐 아니라 원만한 대인 관계를 유지한다고 알려져 있다.자폐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자폐아동의 얼굴표정인식에 결함이 있음은 밝혀졌으나 그 기전은 아직도 모호하다.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얼굴 지각 연구에서 나온 여러 이론 중 다중 범주 얼굴 지각 이론(MFRM: Multi-Dimensional Face Recognition Model)을 바탕으로 자폐증의 얼굴 정서 인식의 기전을 파악하고자 한다. MFRM에서는 얼굴 인식이 정체성,성별,정서,인종 등 다양한 범주 차원에서 prototype의 형태로 표상되며,지속적인 경험을 통해 변화한다고 가정한다.또한 순응 패러다임(adaptation paradigm)을 적용한 실험 설계를 통해 다양한 수준의 얼굴자극을 제시하여 그 순응도에 따라 얼굴 인식이 달라짐을 확인함으로써 MFRM의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한다.더불어 안구 운동 패턴분석,사건유발전위 및 과제 수행 시 행동관찰 등의 방법적 다양성을 꾀하여 얼굴표정지각 기제 연구의 객관성과 과학성을 확립하고자 한다.자폐증의 사회 인지 결함 증상에 근간이 되는 얼굴 인식에 대한 기제 확인을 목표로 하는 본 연구는 자폐증 집단에 대한 효과적인 진단 및 치료법 모색의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특히,기전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보다 손쉽게 그러나 객관적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기제에 근거한 치료 프로그램의 개발은 점차로 증가하는 자폐증의 확산과 악화를 막는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담당자 연락처 : 곽의현 [email protected] 얼굴은 다른 물체와는 달리 특별하게 지각되는 자극이다(Tanaka, Lincoln, & Hegg, 2003). 따라서 얼굴을 재인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기제들에 대한 연구 역시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얼굴 자극을 언어적으로 설명했을 때, 얼굴 자극을 재인하는 능력에 차이가 나타난다고 알려져 왔다(Brown, Gehrke & Lloyd-Jones, 2010; Schooler & English-Schooler, 1990). 연구자들은 언어화가 얼굴 재인 능력을 저하시키는 현상을 언어장막효과(verbal overshadowing effect)라고 명명하였다. 그러나 언어화가 얼굴 재인 능력을 저하시키는지에 대해서는 다소 상충된 결과가 존재한다. 몇몇 연구들은 언어화가 얼굴 재인 능력을 증진시키는 언어촉진효과(verbal facilitation effect)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얼굴자극의 언어화로 인해 얼굴 재인 능력이 향상되는지 저하되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는 매우 혼재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언어화가 얼굴 재인 능력에 가지는 영향이 언제 달라지는지에 대해서도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개의 실험을 통해서 얼굴 자극의 언어화가 언제 이루어지는지에 따라서 언어화 효과의 방향성이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얼굴 자극의 언어화가 얼굴 재인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언어적 설명에 의한 것인지, 언어화를 통해서 얼굴 자극에 주의를 기울이게 되기 때문인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의 정서를 정확히 인지하고 파악하는 능력은 적절하고 기능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수행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정확한 정서 인식을 위해서는 대상의 얼굴 표정과 같은 주요 정보 외에도 다양한 맥락 정보를 통합하여 활용하는 복합적인 정보처리 과정이 요구되며(de Gelder et al., 2006; Ekman & O'Sullivan, 1988), 이러한 정보처리 과정은 자극을 인식하는 것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주어진 상황의 정서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viezer, Bentin, Dudarev, & Hassin, 2011).
최근 연구들은 불안, 우울, 자폐적 특성과 같은 개인의 인지적 특성들이 정서를 지각함에 있어서 맥락 정보를 통합하는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다. 특히, 사회불안 수준이 높은 집단은 맥락 정보를 통합하는 과제를 수행하는 데 불안 수준이 낮은 집단에 비해 과제 수행 정확도가 낮고, 더 긴 수행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Eysenck, Derakshan, Santos, & Calvo, 2007; Richards, French, Keogh, & Carter, 2000). 이러한 결과들은 높은 사회불안 수준이 통합적 인지 처리의 비효율성과 관련됨을 시사한다(Eysenck, Derakshan, Santos, & Calvo, 200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높은 사회불안 수준을 가진 개인의 인지적 특성이 정서를 지각함에 있어서 맥락 정보를 통합적으로 처리하는 지각 과정에 역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사회 불안 집단의 정서 인식 능력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심화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2년 최신판으로 개정된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 4판(Parenting Stress Index Fourth edition; PSI-4)을 한국어로 번역하여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 4판(Korean-Parenting Stress Index 4th Edition; K-PSI-4)을 제작하고,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먼저 기존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K-PSI) 문항의 번역상 어색한 부분을 해결하고, 보다 의미전달이 명확한 문항을 제작하기 위하여, 모든 문항을 3단계 번역 절차에 따라 전면 재번역하였으며, 전문가 및 부모 집단의 자문을 통해 최종적으로 문항을 완성하였다. 전국 20개 도시에서 만 1세부터 만 12세의 자녀를 둔 부모 1,333명을 모집하여 건강관련질문지, K-PSI-4, 유아용 양육효능감 척도 또는 아동용 양육효능감 척도, 건강 관련 삶의 질 척도(SF-36)를 실시하였다. 이후 사전 동의한 일부 참가자를 대상으로 K-PSI-4 재검사 또는 K-PSI, 한국판 영유아 행동평가 척도(K-CBCL 1.5-5) 또는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CBCL 6-18), 한국어판 우울증 선별도구(PHQ-9), 불안장애 선별도구(GAD-7)를 실시하였다. 규준 산출을 위하여 자녀 성별 및 자녀 연령대 간 차이를 분석하였고, 신뢰도 검증을 목적으로 내적 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계산하였다. 변별타당도는 정신과적 진단을 받은 자녀를 둔 부모와 정상발달 자녀를 둔 부모 간 양육스트레스 차이검증을 통해, 공인타당도는 K-PSI, K-CBCL, 양육효능감 척도, PHQ-9, GAD-7과의 상관관계 및 양육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양육효능감 차이검증을 통해 확인되었고, 수렴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K-PSI-4 하위척도 및 하위영역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K-PSI-4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미국판 PSI-4의 요인구조를 따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K-PSI-4가 심리측정적으로 신뢰롭고 타당한 부모 양육스트레스 측정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세계적으로 소아 비만의 유병율은 따르게 증가하고 있다. 전 세계 1억5천만 정도의 아동이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것으로 측정되었다(Lobstein, Baur, & Uauy, 2004). 한국도 이와 마찬가지인데, 우리나라의 비만 아동은 1998년에서 2001년까지 3년 동안 남아의 경우 7.2%에서 15.4%로, 여아의 경우 8.7%에서 15.9%로, 2배 정도 증가하였다(보건복지부, 2005). 소아비만에 대한 최근 연구에서는 환경적인 요인 중에 가족요인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가 많은데, 자녀의 비만에 대한 걱정과 자녀를 먹이는 행동 등을 포함하는 부모의 태도는 자녀의 식습관이나 체중 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결론이다(Birch, 2006; Carnell &Wardle, 2007; Faith, Scanlon, Birch, Francis, & Sherry, 2004; Johannsen, Johannsen, & Specker, 2006). 부모의 역할은 가족의 식사 환경을 조성하고, 아동기 초기의 식사 경험을 제공하며, 아동 초기의 식사습관이 성인기까지 영향을 미치므로 부모의 아동 섭식에 대한 관여와 걱정, 행동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도구의 필요성이 있다. Birch와 그의 동료들(2001)이 개발한 아동 섭식행동 질문지(Child Feeding Questionnaire; 이하 CFQ)는 부모의 아동을 먹이는 것에 대한 믿음과 태도와 아동의 체중경향성을 평가하는 척도로서 만 2세에서 11세까지 아동들에게 사용된다. 특히 이 척도는 여러 국가에서 요인분석을 통해, 안정적인 구조임을 검증받은 척도로서 부모의 행동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선별하는 검사 도구로 평가 받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 사용할 경우 섭식 문제를 가지고 있는 아동의 선별은 물론 임상적, 연구적, 교육적 도구로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섭취 문제 평가를 위한 아동 섭식행동 질문지(CFQ)를 한국 상황에 맞게 번안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후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하는 것이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은 신경발달학적 장애로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언어 및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질적 결함,반복적이며 상동적인 행동과 흥미 등으로 정의 된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APA], 2000).공존 질환이란,특정 장애와 함께 나타나는 정신 건강 장애(mental health disorder)를 의미한다(Matson, 2007; Matson & NebelSchwalm, 2007).특히,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경우 생물학적 기제에 따른 다양한 공존 질환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atson et al., 2008).일반적으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경우,장애를 겪고 있는 대상 중70%정도가 지적 장애와의 공존 질환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ombonne, 2003).이 외에도 많은 경우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환자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우울,불안,강박 장애 등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Dominick et al., 2007; Carpm & Rutter, 1991).그러나,대다수의 경우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으며,개인에 따른 자폐 증상의 편차가 크고 다양하다는 점에 있어서 병리증상과 자폐 증상의 구분이 모호하다는 어려움이 있다.국내의 경우,대다수의 공존 질환 연구가 일화적인 정보에 의존하고 있으며 체계적 측정 도구에 대한 개발이 미흡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이에 본 연구에서는Matson과 그의 동료들(2008)이 개발한 자폐 스펙트럼 공존 장애 측정 검사(Autism Spectrum Disorders-Comorbid for Children)를 번안 및 표준화하여 국내에 적용할 수 있는 한국형 자폐 공존질환 검사를 개발하고자 한다.이를 통하여,문화적,사회적 차이를 극복하고 국내 자폐 아동이 겪는 다양한 공존 질환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검사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부모의 자녀에 대한 과보호적 양육태도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Korean-Parental Overprotection Scale; K-POS)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 1에서는 다양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한국 과보호 양육태도의 특성을 파악하고 86문항을 작성하여 교육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또한 만 15-17세의 학생(N=331)을 대상으로 1차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여 5개의 잠재 하위요인을 추출, 문항을 수정하여 33문항의 과보호 예비척도를 제작하였다. 연구 2에서는 서울 소재의 6개 고등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차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N= 458), 최종적으로 한국과보호특성이 4요인 구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들은 성취지향, 체면문화, 통제, 동일시로 명명되었으며 문항변별도 확인 후, 각각 4문항, 4문항, 4문항, 3문항으로 총 15문항이 도출되었다. 추가적인 확인적 요인분석(N= 458)을 실시한 결과, 척도의 추출된 4요인구조의 타당성이 확인되었다. 연구 3을 통해 한국 과보호 척도(K-POS)의 유의한 수준의 내적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기존 과보호 양육태도를 측정하는 척도들의 하위 문항간의 상관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국 과보호 양육척도(K-POS)는 한국의 문화특수적 과보호 양육태도를 측정하기에 심리측정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연구의 임상적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섭취 및 식사행동 문제는 아동기에 발생하는 행동문제 중 가장 보편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다. 아직 국내의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서구의 역학조사에 따르면 아동의 25-50%는 섭식에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고 한다. 섭식은 아동의 생존에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아동기 문제행동을 유발하며, 인지작용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훗날 아동발달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식사 중 문제행동은 가족에게 높은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전반적인 가족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는 연구보고 또한 존재한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기 섭취 문제에 효과적으로 개입해야 할 필요성을 드러내주고 있지만, 아동이 어느 정도의 섭취 문제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표준화된 진단도구는 현재 존재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섭취 및 식사 중 문제행동을 진단하기 위한 도구 중 가장 그 타당성을 인정받고 널리 쓰이는 도구인 아동섭취행동검사(Children's Eating Behavior Inventory; Archer, Rosenbaum, & Streiner, 1991)을 국내 규준으로 표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재 국내 아동 중 얼마나 많은 비율이 섭취문제를 보유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임상 현장에서 섭취 문제를 보유하는 아동을 효과적으로 선별해내고, 적절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부모의 높은 스트레스는 아동의 문제행동에 원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결과로도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아동이 문제를 드러낼 때에 아동뿐 아니라 부모의 스트레스 또한 다각도에서 효과적으로 측정하여, 이에 개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부모의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미국에서 표준화되어 널리 쓰이고 있는 도구인Parenting Stress Index(PSI, 1999)는 아동으로 인하여 유발된 스트레스와 부모 자신의 문제로 인하여 유발된 스트레스를 구분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부모 스트레스를 측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PSI를 국내 규준에 알맞게 표준화하여 아동의 문제에 좀 더 효과적으로 접근하고,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부모의 스트레스에도 역시 효과적으로 개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AuthorWrite something about yourself. No need to be fancy, just an overview. ArchivesCategori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