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s: ASD)는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에 문제를 보이며 상동증적인 행동 또는 제한적인 관심이 주 증상인 장애로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4), 그 특성상 자해, 공격, 파괴 등 다양한 종류의 문제행동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제행동은 단순히 자신과 남에게 해를 입히거나 위협할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주며, 나아가 새로운 기술을 배우거나 타인과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할 기회를 박탈해 사회에 참여하여 적응할 가능성을 저해하며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Rojahn, Aman, Matson et al., 2003; Lundqvist, 2011). 다양한 연구를 통해 ASD를 가진 아동 및 청소년들의 문제행동의 발생률이 매우 높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최근 국내에서도 ASD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ASD 아동의 문제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대부분의 도구는 ASD뿐만 아니라 지적장애, 발달장애 등 여러 장애를 대상으로 표준화된 도구였으며, 이러한 도구로 ASD 아동들의 문제행동을 측정하는 것은 타당도가 떨어진다. 본 연구는 ASD 아동들의 문제행동을 측정하는 ASD-BPC (Autism Spectrum Disorder- Behavior Problem for Children; Matson, Gonzalez, & Rivet, 2008)를 한국 실정에 맞게 표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담당자 연락처: 이민주 [email protected]
1 Comment
What are some notable research studies, clinical trials, or innovative interventions conducted by the Department of Mental Health at Yonsei University that have significantly advanced our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mental health conditions, such as depression, anxiety disorders, and schizophrenia, while considering factors such as patient outcomes, long-term effectiveness, and societal impact?
Reply
Leave a Reply. |
AuthorWrite something about yourself. No need to be fancy, just an overview. ArchivesCategori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