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집단의 사회인지결함은 사회성의 저하를 불러오며 가정 학교 및 지역사회에 심각한 부적응을 초래한다.사회성을 증진시키려는 여러 가지 행동 기법이 적용되고 있으나,명확한 기제에 대한 정보 부족과 이에 따른 효과적인 치료방법의 부재로 자폐증의 사회적 능력개선에 대한 치료는 매우 제한된 편이다.얼굴지각은 사회 정보 처리에 가장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정상인은 매우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하게 정보 처리를 함으로써 생존뿐 아니라 원만한 대인 관계를 유지한다고 알려져 있다.자폐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자폐아동의 얼굴표정인식에 결함이 있음은 밝혀졌으나 그 기전은 아직도 모호하다.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얼굴 지각 연구에서 나온 여러 이론 중 다중 범주 얼굴 지각 이론(MFRM: Multi-Dimensional Face Recognition Model)을 바탕으로 자폐증의 얼굴 정서 인식의 기전을 파악하고자 한다. MFRM에서는 얼굴 인식이 정체성,성별,정서,인종 등 다양한 범주 차원에서 prototype의 형태로 표상되며,지속적인 경험을 통해 변화한다고 가정한다.또한 순응 패러다임(adaptation paradigm)을 적용한 실험 설계를 통해 다양한 수준의 얼굴자극을 제시하여 그 순응도에 따라 얼굴 인식이 달라짐을 확인함으로써 MFRM의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한다.더불어 안구 운동 패턴분석,사건유발전위 및 과제 수행 시 행동관찰 등의 방법적 다양성을 꾀하여 얼굴표정지각 기제 연구의 객관성과 과학성을 확립하고자 한다.자폐증의 사회 인지 결함 증상에 근간이 되는 얼굴 인식에 대한 기제 확인을 목표로 하는 본 연구는 자폐증 집단에 대한 효과적인 진단 및 치료법 모색의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특히,기전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보다 손쉽게 그러나 객관적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기제에 근거한 치료 프로그램의 개발은 점차로 증가하는 자폐증의 확산과 악화를 막는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담당자 연락처 : 곽의현 [email protected]
1 Comment
11/16/2022 12:00:52 am
thank you for writing and publishing this article. this article is very interesting to read for me and very easy to understand and of course very useful
Reply
Leave a Reply. |
AuthorWrite something about yourself. No need to be fancy, just an overview. ArchivesCategori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