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료 연구 |
01. 발달 및 자폐 연구
[완료]
- 지적장애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어려운 과제에서 분산 강화와 누적 강화의 강화 효과 비교
- 자폐스펙트럼장애인 아동, 청소년, 성인 대상 자조기술 습득 전자책 제작
- ICT 기반 지적장애를 동반한 신경발달장애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집행기능 향상 프로그램 “YESS”의 개발 및 가정 기반 효과성 검증
- 고기능 자폐 아동/청소년의 눈맞춤, 얼굴인식, 사회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모바일 앱 훈련 “Yface”의 효과성 연구2(상용화)
- 어린 자폐아동을 위한 ESDM의 효과성 검증
- 아동/청소년/성인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 현황 및 기능 파악 : 부모/교사/치료사의 관점 비교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집단의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부모교육 효과성 연구
- 발달장애 아동의 부모교육 연구
- 지적장애 아동 및 청소년 대상 분산 강화와 누적 강화의 과제 난이도별 강화 효과 비교
- 고기능 자폐 아동, 청소년을 위한 온라인 눈맞춤 및 얼굴인식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자폐 스펙트럼 아동·청소년의 얼굴 정체성과 표정의 통합적 표상에 관한 탐색 연구
- 맥락 정보로서 얼굴표정이 자폐스펙트럼 아동, 청소년의 정서인식에 미치는 영향
- 고기능 자폐아동의 인종-수반 잔상효과
- 고기능 자폐 아동 및 청소년의 눈맞춤, 얼굴인식, 사회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훈련 ‘Yface’의 효과성 연구
-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한 문제행동치료 매뉴얼 훈련의 효과성 연구
- 자폐 아동의 채소 섭취 증진을 위한 장기적인 노출의 효과성 연구
- 지하철 내 문제 행동 개선을 위한 자폐 대상 자기관찰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자폐 아동을 위한 얼굴 인식 훈련 프로그램 : 언어화의 효과
- 아스퍼거 및 고기능 자폐 아동 집단을 대상으로 한 사회성 프로그램의 효과성연구
-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수면연구
-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아동/청소년의 얼굴 인식기제 연구: 인종-수반 잔상효과를 중심으로
- ASD 아동의 입모양 잔여효과에 대한 탐색
- 평균 얼굴 순응에 따른 얼굴 변별 정확도 변화에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집단과 정상 발달 집단의 차이 연구
- 고기능 자폐인을 위한 앱기반 인지행동 개입프로그램 “HARU ASD” 개발 및 효과성 검증
02. 디지털 치료제와 디지털 피노타이핑
[완료]
- 암환자를 위한 앱 기반 인지행동 개입 프로그램 “하루(HARU)”의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우울/불안, 수면, 통증
- 우울 또는 불면을 경험하는 암환자와 일반인의 인지도식 비교
- 일반인과 암 집단의 주의편향 비교
- 아동/청소년 소아암 생존자를 위한 디스트레스 선별도구(Distress Screening Tool)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우울 조기진단 및 개입을 위한 통합 ICT 서비스 플랫폼 개발
- 디지털 피노타이핑 기반 직장인 정신건강 측정 알고리즘 및 개입 인프라 구현
- 고령자들을 위한 정보통신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향과 정책적 대안 연구
- 직장인의 심리적 적응 증진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기반 모바일 챗봇 프로그램 ‘와이즈 케어’의 효과성 검증
- 생태학적 순간 평가 활용을 통한 우울 역동 프로파일 조사
03. 긍정 컴퓨팅을 위한 설득적 인터랙션 개발
[완료]
- 보상과 푸시알람의 효과성 검증
- 집단수반 유형 및 사회적 상호작용이 걷기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성인의 걷기 행동 증진에 대한 집단수반 유형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멀티캠퍼스 기반의 대규모 실험연구
- Gamification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Gamification 설문연구
- 보상, 스케줄, 걷기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상용화된 앱의 걷기 행동 증진에 대한 효과성 연구
- 증가보상 강화 스케줄에서 보상제공량의 증가 비율이 대학생의 걷기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모바일 기기를 통한 복권 강화의 걷기 행동 증진에 대한 효과성 및 비용 효율성 검증
- 집단 수반 유형이 걷기 행동에 미치는 영향: 효과성 및 비용 효율성 비교
- 대학생의 신체활동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강화 스케줄의 효과성 비교
04. 암 완치클리닉
[완료]
05. 자기관리
[완료]
- 충동성 감소를 위한 수업효과 연구 : 자기관리 수업과 체력단련 수업의 효과 비교
- 규칙적인 운동을 요구하는 체력단련 수업을 통한 자기통제력의 향상 및 일반화 효과
-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간의 관계: 피드백의 효과
- 비만 아동에 대한 자기관리 전략의 효과성 연구
- 자기관리기술을 통한 목표 행동의 개선과 변화 관찰 연구
- 자기관리 수업을 통한 자기통제력의 향상 및 일반화 효과
- 크기효과가 지연 디스카운팅 과제의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피드백 중재가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 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감소에 미치는 영향
- 충동성 조절 개입 효과성 평가 도구로서 지연 디스카운팅 과제의 유용성 평가
06. 행동의학
[완료]
07. 부모 과보호 및 양육 태도
[완료]
08. 윤리
[완료]
09. 아동 청소년 정신장애
[완료]
10. 얼굴인식
11. 척도
[완료]
- 한국판 청소년용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 단축형(K-SIPA-SF)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연구
-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 4판 단축형 (K-PSI-4-SF)의 표준화 연구
- 한국판 청소년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K-SIPA)의 표준화 연구
- 부모 과보호 척도(K-POS-2)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한국판 아동 및 청소년용 부모양육스트레스 척도(PSI & SIPA)의 표준화 연구
- 한국판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문제 행동 검사(K-ASD-PBC)의 표준화 연구
- 연세대학교 얼굴모음집(Yface database)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Yonsei Mindreading Face Battery(Y-CAM)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성인, 청소년, 아동용
-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 4판(K-PSI-4)의 표준화 연구
- 아동 섭식행동 질문지(K-CFQ)의 한국 표준화 연구
- 한국판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따른 공존 장애 검사(K-ASD-CC)의 표준화 연구
- 고등학생용 한국 과보호 양육척도(K-POS)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한국 아동 섭취행동 검사(K-CEBI)의 표준화 연구
- 한국판 부모스트레스 척도(K-PSI)의 표준화 연구
- 한국형 아동 섭취행동 질문지(K-CEBQ)의 표준화 연구
- 한국 아동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척도(K-CARS)의 표준화 연구
- 부모의 식사 중 행동 척도(PMAS)의 한국 표준화 연구
- 부모와 아동의 상호작용 관찰을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
- 한국형 행동 문제 검사(BPI-01)의 표준화 연구 및 한국의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문제행동 실태 조사
- 한국 아동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 척도(K-ASD)의 표준화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