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권 강화는 효과성과 비용 효율성의 측면에서 mHealth에의 성공적인 적용이 기대되는 전략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적용된 복권 강화의 걷기 행동 증진에 대한 효과성, 효과 지속성, 비용 효율성 및 만족도와 유용성이 복권의 당첨 확률과 당첨 금액, 그리고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 66명(남 26명, 여 40명)을 10% 확률의 높은 보상(10%+B), 50% 확률의 중간 보상(50%+M), 100% 확률의 낮은 보상(100%+S)의 세 집단에 무선할당 하였다. 모바일 기기를 통해 참가자들의 걸음 수를 수집하였으며, 개입 전후 자기보고로 걷기 활동량을 측정하는 한편, 개입이 종료된 후 자기보고를 통해 개입 만족도와 개입 유용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효과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추적 평가에 동의한 참가자 47명(남 22명, 여 25명)을 대상으로, 개입 종료 후 2개월 동안 걸음 수와 걷기 활동량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남성의 걸음 수는 10%+B와 50%+M 집단에서 개입 후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여성의 걸음 수는 100%+S 집단에서만 개입 후 유의미하게 증가였다. 또한, 10%+B, 50%+M 집단에서 남성의 걷기 활동량이 여성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효과 지속성 분석 결과, 50%+M 집단의 남성에게서만 개입의 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용 효율성의 측면에서, 남성의 포인트 대비 걸음 수 증가치가 여성보다 높았고, 여성의 포인트 대비 걸음 수 증가치는 100%+S 집단이 50%+M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개입 만족도의 경우, 10%+B 집단의 개입 만족도가 100%+S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개입 유용성의 경우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3 Comments
12/16/2023 08:26:22 pm
How did the study investigate the impact of lottery reinforcement, varying in probability and reward amount, delivered through mobile devices on promoting walking behavior among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What were the observed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sustainability, cost-effectiveness, satisfaction levels, and usefulness of this intervention across different reward probabilities, amounts, and gender groups? Additionally, how did the study findings suggest variations in step count increases, walking activity, sustainability of effects, cost-effectiveness ratios, and satisfaction levels among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across the different lottery reinforcement groups?
Reply
Leave a Reply. |
AuthorClick here to edit. Archives
July 2023
Categori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