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모바일과 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걷기 행동을 증진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이 다수 개발되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어플리케이션이 근거 기반 접근을 따르지 않아 효과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실에서는 어떤 전략이 성인의 걷기 행동을 증진함에 있어 가장 효과적이고 또한 비용 효율적인지 파악하는 일련의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그 중 집단수반 유형이 걷기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무작위 대표를 선정하여 대표의 수행에 따라 전체에 강화를 제공하는 종속 집단수반이 효과성의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집단 수반 유형이며, 팀 전체의 수행에 따라 강화가 제공되는 상호의존적 집단수반이 가장 비용 효율적인 전략임을 규명하였습니다(김희원, 2020). 그러나, 해당 연구에서는 집단수반을 구성하는 필수 요소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조작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집단수반의 유형에 사회적 상호작용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효과성과 비용 효율성이 확인된 종속 집단수반과 상호의존적 집단수반을 대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이 가능한 경우와 불가능한 경우를 조작하여, 사회적 상호작용이 신체활동 증진을 목적으로 적용된 집단 수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합니다.
담당자: 이창석 [email protected]
0 Comments
Leave a Reply. |
AuthorClick here to edit. Archives
July 2023
Categori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