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헬스(mHealth) 분야의 성장으로 신체활동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급증하고 있으나, 그 효과성이나 비용 효율성에 대한 근거는 매우 부족하다. 수반 관리는 조작적 조건 형성 원리에 근거한 행동 변화 전략으로, 기술 기반 수반 관리라는 이름으로 mHealth 분야에 활발히 적용되기 시작하였으며 그 중 집단 수반은 면대면 장면의 연구를 통해 검증된 높은 효과성과 비용 효율성으로 인하여 최근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 기반 집단 수반이 성인의 걷기 행동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집단 수반 의 각 유형 간 효과성 및 비용 효율성에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72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기존 걸음 수를 기준으로 3인 1팀으로 분류하고, 각 팀을 집단 수반의 3가지 유형(독립 집단 수반, 상호의존적 집단 수반, 종속 집단 수반)에 무선할당한 후 66일 동안 기술 기반 집단 수반 개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효과성 측면에서 개입 이후 모든 기술 기반 집단 수반 유형의 걸음 수 및 자기 보고된 걷기 활동량이 증가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종속 집단 수반이 독립과 상호의존적 집단 수반에 비해 목표 걸음 수 달성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개입 종료 후 2개월이 지난 시점을 기준으로는 모든 집단 수반 유형의 효과가 지속되지 않았다. 비용 효율성 측면에서는 상호의존적 집단 수반이 독립과 종속 집단 수반에 비해 사용한 강화물 대비 걸음 수 변화량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0 Comments
Leave a Reply. |
AuthorClick here to edit. Archives
July 2023
Categori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