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아이를 둔 부모 10명 중 4명 이상이 소아 섭취문제를 경험하고, 가장 빈번한 문제는 편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정경미 교수팀은 삼성서울병원과 상계백병원 소아과에 내원한 아동과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만 12세 이하 아동의 부모 등 총 796명을 대상으로 아동의 섭취문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만 1~12세 아동 부모 중 40% 이상의 부모가 자녀의 섭취문제를 보고했다. 부모들이 가장 많이 보고한 섭취문제는 편식(81.7%)이었다. 이는 어린이 3명 중 1명꼴로 편식을 하고 있는 셈이다.
이어 지나치게 긴 식사시간(43.1%), 문제행동(28.1%), 씹기 문제(24.5%), 음식 거부(18%), 되새김질/토함(17.1%) 등이 보고됐다. 또 섭취문제를 보이는 아동의 절반 이상(52.3%)은 식사 중 문제행동을 한 가지 이상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나타나는 문제행동은 고개 돌리기(22.0%)였으며 뱉기(17.1%), 음식으로 장난치기(15.9%), 구역질(15.7%), 도망가기(11.3%) 등의 순이었다. 아동이 이같은 문제행동을 보일 경우 부모의 대처행동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어르고 달래기(34%)였으며, 이어 강제로 먹이기(16%), 혼내기(15.2%), 먹고 싶어 할 때만 먹이기(15.1%), 수시로 먹이기(11.8%) 등 대부분 역기능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섭취문제를 보이는 아동의 부모 중 약 6.2% 만이 현재 아동의 섭취에 만족하며, 40.0% 가 아동의 섭취문제로 스트레스를 느낀다고 보고했다. 부모의 스트레스 정도는 특히 아동의 나이가 어릴수록 높았다. 아동의 섭취문제가 저절로 없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보고한 부모는 21.5%였고, 이와 관련된 치료(34.7%)나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19.5%)하다고 응답한 부모가 많아 부모교육과 효과적인 치료 프로그램의 제공이 시급함을 보여줬다. 조사를 주도한 정경미 교수는 “아동기 섭취문제는 아동기 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흔한 문제로 많은 경우 성장과 함께 감소할 수 있다”면서도 “하지만 잘못된 대처방식으로 섭취문제가 악화될 수 있는 만큼 구체적인 섭식문제에 대한 개선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아동기 섭식문제 개선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행동수정방법에 대한 부모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동도 줄어들고 일상생활이 가능하다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출처: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1253025060&cp=nv
0 Comments
Leave a Reply. |
AuthorWrite something about yourself. No need to be fancy, just an overview. ArchivesCategori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