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H LAB
  • Home
  • PEOPLE
    • ADVISOR
    • PhD students
    • MA students
    • ALUMNI
  • RESEARCH
    • RESEARCH AREA
    • PUBLICATION >
      • 2024
      • 2023
      • 2022
      • 2021
      • 2020
      • 2019
      • 2018
      • 2017
      • 2016
      • 2015
      • 2014
      • 2013
      • 2012
      • 2011
      • 2010
      • 2009
      • 2008
      • 2007~
  • Participant Recruitment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청소년의 사회성을 향상시키고 ​예측하기 위한 스마트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성인의 사회성을 향상시키고 ​예측하기 위한 스마트폰
    •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 완화를 위한 ​비대면 부모교육 강의의 효과성 검증
  • NOTICE
  • RESOURCES
    • Yface DB
    • Y-CAM
    • Scales >
      • Korean- Parental Overprotection Scale (K-POS-2)
      • Development of Parent Child Interaction-Direct Observation Checklist (PCI-D)
      • Korean Version of the Parent Mealtime Action Scale(K-PMAS)
      • Development of Parent Child Interaction-Direct Observation Checklist (PCI-D)
      • Functional Assessment for Challenging/Problem Behaviors (FAPB)
    • Manuals
    • Book recommendation
  • LINK
  • Ethics
  • Contact
  • [완료] 윤리

Resources

인사이드 컬럼: “아이야 내 눈을 봐주겠니?”

12/20/2020

1 Comment

 
얼굴을 맞대고 눈과 눈을 바라보는 눈맞춤. 일상적인 행동이지만 누군가에게는 일생의 꿈이 될 수도 있습니다. 바로 발달장애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자폐증(autism)을 앓고 있는 아이와 그 부모님들의 이야기죠.
​

주위에 대한 관심 부족, 의미없는 반복행동 등이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인데요. 전세계적으로 수백만명의 아이들이 자폐증을 앓고 있습니다. 특히 이 아이들은 다른 사람과 눈 맞추기를 어려워합니다. 눈맞춤이라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어려워하기 때문이죠.
Picture
이는 자신의 부모들과도 예외가 아닙니다. 때문에 모든 자폐아동의 부모들은 자신의 눈조차 외면하는 아이들을 보며 가슴 깊은 곳에서 눈물을 흘리죠. 이들에게 아이와의 눈맞춤은 일생의 소원이자 꿈입니다.
​

이런 자폐아와 부모들을 위한 눈맞춤 훈련용 애플리케이션(앱)이 있습니다.
Picture
삼성전자가 진행중인 공익 캠페인인 ‘론칭피플’ 의 일환인 이 앱은 삼성전자와 제일기획, 자폐 전문의사 및 교수들이 힘을 합쳐 만들었는데요.

‘룩앳미(Look At Me)’란 이름의 이 앱은 자폐를 겪는 사람들이 타인과의 소통에는 어려움을 겪지만 디지털기기는 수월하게 다루고 소통한다는 점에 착안해 만들어졌습니다.

앱은 자폐 아동에게 타인과의 눈맞춤, 타인의 표정 이해, 자신의 감정 표현하기 등을 훈련시키는데요. 마치 게임을 하는 것처럼 점수를 부여해 아동들이 적극적이고 쉽게 미션을 수행하도록 유도합니다.
실제 효과도 나타났습니다.

연세대학교 임상심리학과와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이 19명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2014년 7월부터 룩앳미로 임상실험을 진행한 결과 눈맞춤이 되지 않는 아이들의 60%가 개선된 모습을 보였고 다른 사람과 소통하는 능력도 향상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해 12월 런칭된 이 캠페인에 대한 반응도 놀라운데요. 런칭 이후 각 국제광고제를 그야말로 휩쓸고 있습니다. 지난 3월 열린 애드페스트에서 금1,은1, 동2개를 수상한데 이어, 원쇼 광고제에서도 모바일과 UX부문에서 각각 금상을 수상하는 등 총 3개의 상을 획득했습니다. 5월에 열린 뉴욕페스티벌에서도 디지털 부문 동상을 거머줬죠.

여기에 영국 최고 권위의 광고디자인 공모전인 ‘D&AD(디앤에이디) 2015’에서도 모바일 마케팅과 공익 부문 등 총 3부문에서 수상하며 올해만 모두 11개의 상을 획득했습니다.
삼성전자 측은 “기술 혁신은 소비자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삼성전자의 제품과 기술로 소비자가 숨은 가능성을 펼쳐 나갈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런칭 피플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기술의 발달이 인간성을 훼손시킬지 모른다는 암울한 전망도 물론 존재합니다. 하지만 이처럼 기술의 본질은 인간의 혁신과 발전이라는 생각이 더욱 많이 퍼져나간다면, 우리의 미래는 어둡지만은 않을 듯 합니다.
여기에 한국 기업들의 광고나 캠페인이 해외의 광고에 비해 크리에이티브가 떨어진다고 비판하시는 분들께서도, 우리 기업들의 공익 광고, 캠페인이 세계에서 인정받고 있다는 점을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이 순간에도 세상의 따뜻함을 위해 애쓰는 모든 광고인들, 힘내세요!

출처: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50528000654&md=20150528142103_BL
1 Comment
Teknik Informatika link
11/16/2022 12:01:53 am

thank you for writing and publishing this article. this article is very interesting to read for me and very easy to understand and of course very useful

Reply



Leave a Reply.

    Author

    Write something about yourself. No need to be fancy, just an overview.

    Archives

    December 2020

    Categories

    All

    RSS Feed

  • Home
  • PEOPLE
    • ADVISOR
    • PhD students
    • MA students
    • ALUMNI
  • RESEARCH
    • RESEARCH AREA
    • PUBLICATION >
      • 2024
      • 2023
      • 2022
      • 2021
      • 2020
      • 2019
      • 2018
      • 2017
      • 2016
      • 2015
      • 2014
      • 2013
      • 2012
      • 2011
      • 2010
      • 2009
      • 2008
      • 2007~
  • Participant Recruitment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청소년의 사회성을 향상시키고 ​예측하기 위한 스마트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성인의 사회성을 향상시키고 ​예측하기 위한 스마트폰
    •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 완화를 위한 ​비대면 부모교육 강의의 효과성 검증
  • NOTICE
  • RESOURCES
    • Yface DB
    • Y-CAM
    • Scales >
      • Korean- Parental Overprotection Scale (K-POS-2)
      • Development of Parent Child Interaction-Direct Observation Checklist (PCI-D)
      • Korean Version of the Parent Mealtime Action Scale(K-PMAS)
      • Development of Parent Child Interaction-Direct Observation Checklist (PCI-D)
      • Functional Assessment for Challenging/Problem Behaviors (FAPB)
    • Manuals
    • Book recommendation
  • LINK
  • Ethics
  • Contact
  • [완료] 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