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은 봄과 함께 입학과 취업 등으로 새로운 마음을 갖게 한다. 새해나 설에 세웠던 계획을 다시 시작할 수 있는 핑계도 주고, 따뜻해져 가는 햇살은 어쩐지 성공할 것만 같은 기운을 주는 것도 한몫한다. 그런데 슬프게도 이런 성공할 것 같은 느낌이 실제 성공으로 이어지는 사례는 그리 많지 않다. 그리고 우리가, 북적거려 기다려야 기구 사용이 가능한 헬스클럽에, 자리 없이 구석에서 들어야 하는 학원 강의에, 없어서 못 팔던 건강식품에, 그리 조바심치지 않는 이유는 이것들이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아 다 여유로워짐을 이미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언젠가는 성공하리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고, 그래서 계속해서 계획을 세우고, 그리고 끊임없이 다시 시작한다. 반복된 실패에 좌절하기도 하건만 얼마간 실망을 하고, 그리고 다시 일어나 똑같은 방법으로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지난 100여 년간 연구한 결과는 사람들이 그리 이성적이지도 합리적이지도 않으며 스스로에 대해 너무 모르고 있는 존재임을 뚜렷하게 보여준다. 그런데 과학적으로 반복돼 증명된 사람의 보편적 특성을 해석할 때 항상 나는 예외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것이 역사를 통해 내려온 철학적인 관점과 달라서건, 어려서부터 학습된 믿음에 위배돼서건, 아니면 받아들이기엔 너무 힘들기 때문이어서건, 스스로를 개선시키고 변화시키는 데 장애물이 되고 있음은 분명하다.
알고 있지만 받아들이기 어려워 번번이 실패했다면, 한 번쯤은 자신을 실험해 보라고 권하고 싶다. 실패할 수도 있고, 그래서 이미 가진 신념을 재확인할 수도 있지만 혹시 성공할 가능성도 없지 않으니 한번 도전해 보자. 그리고 만약에 성공한다면, 그래서 기쁨을 얻고 보상을 얻는다면, 장담하건대 지금까지와는 다른 세상을 보게 될 것이다. 행동이 지속되려면 반드시 그 행동에 대한 좋은 결과가 따라야 한다. 관심이든 칭찬이든 자기만족이든 실질적인 보상이든, 개인이 가치를 두는 것이면 어떤 형태든 상관없다. 좋은 결과 없이는 행동 지속을 기대하기 어렵다. 어렵게 시작한 다이어트 계획은 변함없는 몸무게에 의해 좌절되고, 갑자기 시작한 운동은 예기치 않은 부상에 의해 중단되며, 멋지게 차려입은 때이른 봄옷은 감기만을 남겨준다. 이런 결과를 얻으며 스스로에게 꾸준한 행동 변화를 기대하는 것은 실패와 좌절만 부를 뿐이다. 행동 변화는, 지속적인 행동 변화는 작은 성공에서 시작한다. 내일 또 운동을 하기 위해선 운동하고 좋은 점이 있어야 하고, 내일 한입을 참기 위해선 참았을 때 오는 보상이 있어야 하고, 계속 외국어 단어를 외우려면 이미 외운 단어가 쓰임이 있어야 한다. 자연적으로 보상이 따라오지 않는다면, 스스로 칭찬하거나 물건을 사주는 것도 한 방법이다. 다른 사람의 행동 변화도 다르지 않다. 아내가 들어주기 쉬운 손쉬운 아침을 부탁하고, 이행에 크게 기뻐하는 모습을 보이자. 매일 늦는 부하직원에게 일주에 하루만 제 시간에 도착하게 하고 지킴을 칭찬하자. 공부와 담 쌓은 말썽꾸러기 아이는 단 1분이라도 책상에 앉아 있을 때 엄청나게 감동받은 모습을 보여주자. 칭찬에 관심에 보상에 무심한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저 무심한 듯 보일 뿐이다. 하찮아 보이는 작은 변화가 모여 큰 변화가 된다. 그리고 그 변화의 열쇠는 작은 성공이다. 행동 변화를 이끄는 동력은 근육과도 같다. 내일 아침에 일어나 갑자기 불끈 솟은 근육을 볼 수 없는 것처럼 행동 변화를 위해서는 꾸준하고 작은 노력과 이에 수반된 작은 성공이 반드시 필요하다. 출처: http://news.mk.co.kr/column/view.php?year=2014&no=383921
0 Comments
Leave a Reply. |
AuthorWrite something about yourself. No need to be fancy, just an overview. ArchivesCategori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