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국내저널
- 장현숙, 정경미. (2015). 발달장애인의 부모와 교육관계자의 삶의 질 예측 변인-환경 변인, 문제행동, 부모/교육 관계자의 심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재활심리연구, 22(3), 441-463.
- 정경미, 이춘매. (2015). 자폐 스펙트럼 환아의 수면 패턴에 대한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4), 765-783.https://doi.org/10.17315/kjhp.2015.20.4.004
- 이춘매, & 정경미. (2015). ASD 아동의 입모양 잔여효과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7(4), 737-761.
- 정다이, & 정경미. (2015). 평균 얼굴 순응에 따른 얼굴 변별 정확도 변화에서자폐 스펙트럼 장애 집단과 정상 발달 집단의 차이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7(4), 777-803.
- 이수진, & 정경미. (2015). 경험논문: 실제 채소에 대한 노출 프로그램이 유아의 채소 섭취 및 실제 식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2), 425-447
- 정경미, 윤성연. (2015). 고등학생용 한국 과보호 양육척도 (K-POS) 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2(1), 1-29.
해외저널
- Seo, J., Lee Y., Kang, S., Chun, H., Pyun, W., Park, S. H., Chung, K. M., & Chung, I. M. (2015). Poor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proactive primary control strategy may act as risk factors for acute coronary syndrome. Korean Circulation Journal,45(2), 117-124.https://doi.org/10.4070/kcj.2015.45.2.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