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국내저널
- 정경미 진동주 (2021). 행동원인규명척도(FAPB)를 사용한 문제행동 원인규명: 관찰자별 및 문제행동 유형별 차이. 행동분석 지원연구, 8(3), 57-74.
- Chung, K. M., Lee, Y. Suh, Park, S., & Suh, Y. J. (2021). The effect of behavioral parent training on problem behaviors of persons with DD and collateral effects on mothers: A single-group pre-post treatment desig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0(4), 331-342. https://doi.org/10.15842/kjcp.2021.40.4.003
- Shin, S. Suh, Y. J., Lee, J. Y., & Chung, K. M. (2021). Longitudinal effects of perceived parental overprotection on Korean male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0(4), 331-342. https://doi.org/10.15842/kjcp.2021.40.4.001
- 박찬솔 정경미 (2021). 지적장애 및 자폐성 장애 아동 대상 과제 수행에 미치는 분산강화와 누적강화의 효과. 행동분석 지원연구, 8(2), 47-68. https://doi.org/10.22874/kaba.2021.8.2.47
- 정경미 이후명 박찬솔 (2021) 경도 지적장애를 동반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뇌파 파워 탐색: 2채널 EEG 디바이스 이용.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3(3), 177-189. http://dx.doi.org/10.22172/cogbio.2021.33.3.005
- 정승민 정경미 (2021). 패시브 센싱 기반 우울 측정: 우울 증상과 수준에 따른 차이 조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4), 807-833.
- 정경미 조성현 박찬솔 (2021). 부모의 과보호를 보고한 대학생의 친사회적 행동: 메시지 유형과 반복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40(2), 187-211. http://dx.doi.org/10.22257/kjp.2021.6.40.2.187
- 진동주 정경미 (2021). 지적장애 아동 대상 과제 난이도에 따른 분산강화와 누적강화 의 수행 효과비교. 행동분석 지원연구, 8(1), 161-181. https://doi.org/10.22874/kaba.2021.8.1.161
- 오향경 정경미 (2021).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집단과 정상발달집단 간 얼굴 정체성과 표정 표상 방식의 차이: 얼굴순응과제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3(1), 31-53.
해외저널
- Kim, H., Lee, C., Lee, S., and Chung, K.-M. (2021). Effect of Group Contingency Type on Walking: Comparisons of Effectiveness and Cost Efficiency. Froniters in Psychology, 12:655663. doi: 10.3389/fpsyg.2021.655663
- Chung, E. S., & Chung, K.-M. (202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Yonsei-Cambridge Mindreading Face Battery for Assessing Complex Emotion Recognition. Psychological Assessment, 33(9), 843–854. https://doi.org/10.1037/pas0001025
- Hudac, C. M., Santhosh, M., Celerian, C., Chung, K. M., Jung, W., & Webb. S. J. (2021). The role of racial and developmental experience on emotional adaptive coding in Autism Spectrum Disorder,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DOI: 10.1080/87565641.2021.1900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