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국내저널
- 정경미, 신나영, 진동주, 정은선. (2018). 자폐스펙트럼장애(ASD)의 근거기반치료.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7(4), 656-670. https://doi.org/10.15842/kjcp.2018.37.4.015
- 김혜정, 이승아, 정경미. (2018).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보호 양육태도에 따른 도덕적 행동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2(4), 91-108. https://doi.org/10.21193/kjspp.2018.32.4.005
- 성세연, 정경미. (2018). 이익충돌 상황에서 설득 메세지의 프레이밍 및 반복에 따른 도덕적 의사결정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4(4), 519-540. https://doi.org/10.20406/kjcs.2018.11.24.4.541
- 김수진, 정경미, 곽의현, 김효원. (2018).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집단 대상 인종-수반 표정 잔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0(4), 353-372. http://doi.org/10.22172/cogbio.2018.30.4.003
- 구본경, 정경미. (2018). 자폐스펙트럼 장애 영유아를 위한 응용행동분석에 기반을 둔 조기개입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연구: 예비연구. 자폐성장애연구, 18(2), 1-30.https://doi.org/10.33729/kpap.2018.2.1
- 노지영, 정경미, 정우현. (2018). 맥락정보로서 얼굴표정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정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0(2), 157-181. https://doi.org/10.22172/cogbio.2018.30.2.005
- 정경미, 오향경, 서유민. (2018). ASD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앱 기반 얼굴인식 및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Look At Me)의 효과성 검증: 예비 연구. 자폐성장애연구, 18(1), 35-56. https://doi.org/10.33729/kpap.2018.1.2
- 김하림, 정경미. (2018). 체력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집중적 운동 수행이 대학생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18(1), 55-83. https://doi.org/10.33703/cbtk.2018.18.1.55
해외저널
- Oh, M., Kang, D., Kim, D., Lee, J., Yoon, S., Kim, Y., Chung, K., Lee. H., Lee, J., & Jeon, J. (2018). Physical fitness and body fatness are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in Korean young adults: a cross sectio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ty Medicine and Public Health,5(4), 1262-1269.https://doi.org/10.18203/2394-6040.ijcmph20181200
- Son, H. K., Kim, D. H., Lee H. J., Kim, H. J., Chung, K. M., & Kim. H. S. (2018). Family management of childhood atopic dermatit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74(6), 1371-1379. https://doi.org/10.1111/jan.13551
- Kim, S. Y., Chung, K.-M., & Jung, S. (2018). Effects of repeated food exposure on increasing vegetable consumption in preschool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47, 26–35. https://doi.org/10.1016/j.rasd.2018.0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