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국내저널
- 정경미, 노지영, 허다연, 김유나. (2016).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한 문제행동 치료 매뉴얼 훈련의 효과. 인지행동치료, 16(4), 517-542.
- 정경미, 김민제, 구유영, 고철기, 김동호, 김수정. (2016). 집중 튜터링과 기숙사 튜터링이 대학생의 수학과목 성적 증진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학연구, 20(6), 459-469.
- 정경미, 김남호. (2016). 언어적 피드백과 정적강화를 포함하는 지역사회중심 자기관찰 프로그램이 지하철에서 발생하는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재활심리연구, 23(4), 739-757.
- 이민주, 정경미. (2016). 문제행동을 가진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부모-아동 상호작용 관찰 체크리스트(PCI-D)의 개발. 재활심리연구, 23(2), 367-395.
- 최현지, 정경미. (2016). 피드백 중재가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 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감소에 미치는 효과.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5(2), 365-391.https://doi.org/10.15842/kjcp.2016.35.2.003
- 김민제, 정경미. (2016).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공동주의 능력 증진을 위한 행동 치료에 대한 탐색적 문헌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5(2), 557-583.https://doi.org/10.15842/kjcp.2016.35.2.012
- 곽의현, 정경미. (2016). 후기 남자 청소년의 우울ㆍ불안 발달궤적과 사회적 지지. 한국심리 학회지: 임상, 35(1), 243-264.
- 김수빈, 김지혜, 정경미. (2016). 이익충돌 상황에서 공개가 자문행동에 주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2(1), 1-18.https://doi.org/10.20406/kjcs.2016.02.22.1.1
해외저널
- Park, H., Ebesutani, C. K., Chung, K.-M., & Stanick, C. (2016). Cross-Cultural Validation of the Modified Practice Attitudes Scale: Initial Factor Analysis and a New Factor Model. Assessment, 25(1), 126–138. https://doi.org/10.1177/1073191116634202